*글에 들어가기 전 필자는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임을 명시하며 커리큘럼은 진로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짤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여느 상위권 공과대학에서 교환학생을 가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미래자동차공학과는 전공 수업이 특히 많은 학과로써 전공 학점 인정이 어려운 교환학생은 거의 아무도 가지 않는다. (미국에 간 사례가 하나 있었는데, 필자는 일본 와세다 대학으로 첫 걸음을 내딛겠다.) 전공들로 가득찬 커리큘럼에서 빈틈의 실을 찾고 교환학생을 집어 넣은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교환학생에 진심이 아닌 사람은 따라하지 말것
교환학생 희망교 : 와세다 대학교 ( 도쿄 신주쿠 )
희망 학과 : 경제학과 or 경영학과
유학 시기 : 2학년 2학기
2학년
1. 2학년 1학기
"6전공"
- 고체역학
- 공업수학1
전기회로- CAD
- 확률통계론
- 열역학
+ 선형대수학 ( 3학년 1학기 전공 과목)
대부분은 6개의 전공을 모두 한학기에 듣게 된다. 추가로 인공지능에 관한 교양도 하나 들어서 총 20학점을 이수한다. 극소수는 공업수학1을 계절학기로 미리 겨울방학에 들음으로서 학기중 전공의 부담을 덜어낸다. (굉장히 현명한 선택 )
필자는 여기서 전기회로를 뺐다. 커리큘럼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질문을 할 것이다.
"전기회로는 2학기 때 수강하는 전자회로랑 연결되는 과목으로 알고 있는데, 빼도 되나요?"
좋은 질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기, 전자회로 모두 듣지 않는 선택을 했다.
- Why?
미자공 커리큘럼은 전기전와 기계 두 방향으로 나뉜다. 보통 두 과정 모두 챙기다가 나중에 가서 하나를 선택하는데, 이 과정을 제외했다. 기계로 방향성을 빠르게 설정했고, 전기전자쪽인 전기, 전자회로를 쉽게 말해 버렸다.
1학기에 전공이 하나 남게 되고 그 자리를 3학년 1학기에 듣는 선형대수학(전공)으로 채운다.
(*필자는 고교시절 선형대수학을 수강하고 와서 이런 선택을 했다.)
2. 2학년 2학기 (교환학생 to 와세다 대학교)
여기서 원래 들어야할 전공 5개 중 4개 과목을 두 번의 계절학기로 미뤘다. 남은 하나는 전자회로인데 안 듣기로 결정한 과목이다.
<계절학기에 들을 과목>
- 2학년 1학기 후 여름 방학 계절학기
- 동역학
- 공업수학2
- 2학년 2학기 후 겨울 방학 계절학기
- 유체역학
- 전자기학
모두 3학점씩으로 전체 12학점을 계절학기로 듣는다.
(*유체역학과 전자기학, 동역학, 공업수학2 모두 비슷한 형태로 고등학교 때 했던 것들이라서 자신 있게 결정했다. 나도 안다. 미친 짓이다.)
2학년 2학기 동안 와세다 대학에서 듣고 싶은 과목 4개 정도를 골라 12학점을 듣고 오면 결국 2학년 1년동안 전공 30학점, 교양 14학점을 들은 셈이 된다. 이는 보통의 평범한 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 와세다 대학교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박스를 클릭!
일본의 명문사립 대학, 와세다 대학교
2022년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 출신 유학생의 11.7%가 일본으로 유학을 간다. 팬더믹 이후 유학생 자체가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그래도 일본의 인기는 여전하다. 오늘은 일본에서
nihonomon.tistory.com
3학년
필자는 기계쪽 커리큘럼을 선택했으니, 전공심화도 기계공학 분야로 들으면 된다. 나름 흥미로운 과목 이름들이 많다. 내가 선택한 전공 과목은 다음과 같다.
<1학기>
- 미래자동차공학연구실현장실습1
- 시스템해석
- 에너지변환공학
- 생산공학
<2학기>
- CAE
- 자동차공학실험
- 설계공학
- 미래자동차공학연구실현장실습2
- 자동제어
- 커리어개발2 (교양 느낌)
이렇게 하면 4학년 때 들어야할 전공 학점은 7학점이 남는다.
Tip) 3학년 1학기에 4학년 1학기 전공을 하나 미리 듣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4학년
이제 남은 7학점은 듣고싶은 과목 선택하면 된다. 물론 커리큘럼을 완성시키고 자신에게 유리한 작용을 할 과목을 잘 선택해야한다. 필자가 선택한 전공 과목은 다음과 같다.
<1학기>
- 미래자동차공학종합설계
- AI로봇공학
<2학기>
- AI차량융합기술
이렇게 들으면,
졸업이다. 이상 공대생이 교환학생 가는법!